한국 찾은 듀레이 콘 美 게이츠재단 위생부문 이사빈곤국선 야외 용변 흔해콜레라 등 각종 질병 취약한국 등 전세계 7개국 협력가정용 초소형 화장실 개발韓 중기 위드마스터스 참여"슈퍼백신 개발 효과 맞먹죠"듀레이 콘 게이츠재단 이사가 저개발 국가의 위생을 개선하기 위한 가정용 초소형 하수처리 설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호영 기자"전 세계적으로 9억명 인구가 화장실 없이 야외에서 대소변을 보고, 매일 5세 이하 아동 800명이 콜레라 같은 수인성 질병으로 사망하고 있습니다. 한국을 포함해 세계 9개 기업·대학이 개발 중인 가정용 초소형 하수처리 설비(HRT·Household Reinvented Toilet)가 상용화되면 많은 이들을 살릴 수 있습니다."최근 방한한 듀레이 콘 미국 게이츠재단 물·공중 및 개인위생 부문 이사는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재단이 후원하는 'HRT 개발 프로젝트'를 "일종의 '슈퍼 백신'을 만드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코트디부아르 출신인 콘 이사는 스위스 로잔대에서 위생학 박사 학위를 받고 아프리카 수질위생산업협회에서 일하다 2011년 게이츠재단에 합류했다.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회장이 설립한 게이츠재단은 그동안 저개발 국가의 수인성 질병을 퇴치하고자 4억달러(약 5900억원)를 투입해 화장실·하수시설 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한국 중소기업 위드마스터스를 비롯한 미국·영국·프랑스 등 7개 국가에서 9개 기업·대학·연구기관과 HRT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HRT는 침전, 산소 발포와 미생물을 활용해 분해·필터링·찌꺼기 건조 기능을 갖춘 '초소형 하수처리 시스템'이다. 하수관을 갖추지 못한 지역의 가정과 시설에 설치해 오수를 자체 정화한 뒤 재활용하거나 배출하는 용도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콘 이사는 "과거 수년간 저개발 국가에 보급할 화장실용 HRT 개발을 후원했지만 이들 국가에 충분히 공급할 수 있을 정도로 생산비를 낮출 수 없었다"며 "이에 따라 작년부터 전략을 바꿔 선진국을 위한 생활하수용 HRT를 먼저 개발·보급함으로써 관련 시장을 만든 다음 이를 통해 저개발국 화장실용 설비를 개발한국 찾은 듀레이 콘 美 게이츠재단 위생부문 이사빈곤국선 야외 용변 흔해콜레라 등 각종 질병 취약한국 등 전세계 7개국 협력가정용 초소형 화장실 개발韓 중기 위드마스터스 참여"슈퍼백신 개발 효과 맞먹죠"듀레이 콘 게이츠재단 이사가 저개발 국가의 위생을 개선하기 위한 가정용 초소형 하수처리 설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호영 기자"전 세계적으로 9억명 인구가 화장실 없이 야외에서 대소변을 보고, 매일 5세 이하 아동 800명이 콜레라 같은 수인성 질병으로 사망하고 있습니다. 한국을 포함해 세계 9개 기업·대학이 개발 중인 가정용 초소형 하수처리 설비(HRT·Household Reinvented Toilet)가 상용화되면 많은 이들을 살릴 수 있습니다."최근 방한한 듀레이 콘 미국 게이츠재단 물·공중 및 개인위생 부문 이사는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재단이 후원하는 'HRT 개발 프로젝트'를 "일종의 '슈퍼 백신'을 만드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코트디부아르 출신인 콘 이사는 스위스 로잔대에서 위생학 박사 학위를 받고 아프리카 수질위생산업협회에서 일하다 2011년 게이츠재단에 합류했다.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회장이 설립한 게이츠재단은 그동안 저개발 국가의 수인성 질병을 퇴치하고자 4억달러(약 5900억원)를 투입해 화장실·하수시설 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한국 중소기업 위드마스터스를 비롯한 미국·영국·프랑스 등 7개 국가에서 9개 기업·대학·연구기관과 HRT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HRT는 침전, 산소 발포와 미생물을 활용해 분해·필터링·찌꺼기 건조 기능을 갖춘 '초소형 하수처리 시스템'이다. 하수관을 갖추지 못한 지역의 가정과 시설에 설치해 오수를 자체 정화한 뒤 재활용하거나 배출하는 용도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콘 이사는 "과거 수년간 저개발 국가에 보급할 화장실용 HRT 개발을 후원했지만 이들 국가에 충분히 공급할 수 있을 정도로 생산비를 낮출 수 없었다"며 "이에 따라 작년부터 전략을 바꿔 선진국을 위한 생활하수용 HRT를 먼저 개발·보급함으로써 관련 시장을 만든 다음 이를 통해 저개발국 화장실용 설비를 개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미국과 프랑스도 정화조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지하수 오염과 질소로 인한 부영양화 등 환경문제가 나타나는 지역이 상당하다. 재단 측은 2027년까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생활하수용 HRT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콘 이사는 "선진국의 정화조 설치비용이 1대당 1만5000~2만달